전체 글191 [AWS] Auto Scaling 차근 차근 따라하기 (고급)(3) - 예약 스케줄 예약 스케줄 예약 스케줄은 Scale-in, Scale-out을 지정된 시간에 맞춰서 자동으로 수행하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설정에 따라 한번 또는 반복으로 Auto Scaling을 수행하도록 적용할 수 있습니다. 저는 Scale-out -> Scale-in 동작 과정을 보기 위해 인스턴스를 1대로 맞추었습니다. Auto Scaling 상세 페이지에서 자동 크기 조정 탭을 선택합니다. 아직 아무 작업도 없기에 예약된 작업 생성을 눌러 스케줄을 생성합니다. 예약된 작업의 이름을 작성하고 Scale 동작을 위해 인스턴스 용량을 입력합니다. 시간대를 선택하고 최초로 스케줄이 시작할 시간 시간을 입력합니다. Scale-out은 2대 Scale-in은 1대로 스케줄을 만들었고 1시간 마다 반복하도록 적용했습니다. .. 2023. 3. 17. [AWS] Auto Scaling 차근 차근 따라하기 (고급)(2) - 일시 중지된 프로세스 일시 중지된 프로세스 옵션이 적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EC2 인스턴스를 중지해보고 이후 테스트 결과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보겠습니다. 현재 인스턴스 상황으로 Auto Scaling에 의해 2대의 인스턴스가 관리되고 있습니다. Auto Scaling 관리 대상 중 하나의 인스턴스를 중지해보겠습니다. 정상적으로 인스턴스가 종료되었고 Auto Scaling에서 확인을 해보면 인스턴스가 중지 된 것을 감지하고 헬스체크가 실패되어 비정상으로 판단하게 됩니다. 그에 따라 중지된 인스턴스는 다른 인스턴스로 교체되었습니다. EC2 인스턴스 목록을 확인해보면 기존 인스턴스는 수동으로 중지를 시켰지만 Auto Scaling이 헬스 체크 실패로 인해 비정상으로 판단하여 중지한 인스턴스를 종료시켰고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하였습.. 2023. 3. 17. [AWS] Auto Scaling 차근 차근 따라하기 (고급)(1) - ELB 상태 확인 Auto Scaling의 기능 중 추가 기능들에 대해 살펴보려고 합니다. 1) 상태 확인 - ELB 상태 확인 2) 일시 중지된 프로세스 - Health Check, Terminate 3) 예약 스케줄 Auto Scaling을 편집 하기 위해 Auto Scaling을 선택하여 편집 메뉴로 들어갑니다. 상태확인 - ELB ‘상태확인 - ELB’ 기능은 Auto Scaling 인스턴스를 비정상으로 판단하고 교체하는 기준이 Auto Scaling의 헬스 체크 뿐만 아니라 로드 밸런서의 헬스 체크 실패 시에도 해당 인스턴스를 비정상으로 판단하게 됩니다. 해당 옵션을 활성화 할 경우 EC2 인스턴스는 이상이 없으나 서비스가 비활성화되어 로드밸런서 헬스 체크 실패 시 인스턴스가 교체되게 됩니다. Auto Scali.. 2023. 3. 17. [AWS] Auto Scaling 차근 차근 따라하기 AWS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Auto-Scaling은 필요에 따라 서비스 확장을 유연하게 도와주는 서비스입니다. 상태에 따라 EC2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서비스 처리를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입니다. Auto-Scaling을 설정 함에 앞서 Scaling에 대해 잠깐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스케일링 이란? 스케일링이란 필요 시 EC2 인스턴스의 파워를 늘리는 것으로 2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스케일 업(Scale-Up) 스케일 아웃(Scale-Out) - 용량 확장 필요 시 인스턴스 성능을 증가 (인스턴스 갯수 동일) - 성능과 비용이 비례하지 않는다는 단점 - 스케일 다운(Scale-Down) : 인스턴스 성능 감소 용량 확장 필요 시 인스턴스 갯수를 증가, 규모를 늘리는 것 (인스턴스 성능은 동.. 2023. 3. 8. [Docker] M1맥북으로 EC2 배포 시 오류(linux/arm64, linux/amd64), does not match the detected host platform (linux/amd64) 도커를 테스트하면서 EC2에 컨테이너를 배포하는데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WARNING: The requested image's platform (linux/arm64/v8) does not match the detected host platform (linux/amd64) and no specific platform was requested 해당 오류의 원인은 M1맥북으로 빌드한 이미지 플랫폼은 linux/arm64/v8인데 EC2는 linux/amd64이라 플랫폼 환경이 맞지 않아 발생한 오류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미지 빌드 시 --platform linux/amd64 옵션을 사용하여 플랫폼을 지정해서 빌드하도록 하면 됩니다. docker build --platform linux/a.. 2023. 2. 28. [F5] F5 BIP-IP 관리자 접근 제어 (HTTPS/SSH) F5 관리자 접근 ACL 설정 먼저 현재 적용된 ACL의 리스트를 확인합니다.# list sys httpd allow# tmsh(tmos)# list sys httpd allowsys httpd { allow { 100.100.100.1 100.100.100.2 }} # modify sys httpd allow add {IP Address}modify add 명령어를 통해 허용하고자 하는 IP를 작성 후 적용이 되었는지 확인합니다.SSH에 대한 접근권한은 httpd대신 sshd로 변경하여 적용하면 됩니다.(tmos)# modify sys httpd allow add {10.100.26.21}(tmos)# modify sys httpd allow add {10.100.26.22}(tmos)# list.. 2023. 2. 10. [Network] Cisco 광 모듈 인식 및 신호 확인 광 포트 지빅 신호 세기 확인: `show interfaces transceiver detail` [송신 신호 세기][수신 신호 세기] 신호 세기는 경우 유효 광 신호 세기 범위를 제공하며 벤더사에 따라 데시벨(dB) 또는 미리와트(mW)로 표기 되곤 합니다.광 케이블 연결 시 포트 인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광 신호 세기가 정상 범위(-1dBm ~ -23dBm)에 있는지 확인하여 어느 쪽의 이슈인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특정 포트 지빅 인식 확인: `show idprom int te #/#/#`현재 연결된 지빅의 타입, 시리얼번호, 벤더사, 커넥터 타입 등 여러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광 모듈 타입 확인: `show interface status`모든 인터페이스의 연결된 지빅의 타입을 .. 2023. 1. 26. [Docker] Docker 이미지 & 컨테이너 이미지 레이어 이해하기 Docker는 이미지 빌드 시 Dockerfile의 명령어를 실행 했을 때 결과가 이전과 다른 점이 없으면 캐시를 사용해 빠르게 생성함 (명령어를 수행 했을 때 디렉터리, 코드 등 변경 사항이 없으면 이전과 결과가 같다고 판단하기 때문) Docker는 레이어 기반 아키텍처를 수행하는데 Dockerfile의 하나의 명령어는 하나의 레이어를 나타냄 Docker 이미지는 읽기 전용으로 명령이 실행되고 이미지가 빌드되면 이미지가 잠기고, 이미지를 다시 빌드하지 않는 한 그 코드를 변경할 수 없음 (새 이미지를 생성) 특정 레이어가 변경될 때마다 변경된 레이어 이후 모든 레이어는 빌드를 다시 수행 (캐시 사용 X)npm install과 같이 변경 사항이 자주 일어나지 않으나 한번 수행 시 .. 2023. 1. 24. [AWS] EC2 Swap 메모리를 늘려보자 작업 전 Swap 메모리 및 디스크 용량 확인 (command : free, df) Swap 메모리를 늘리기 전 Swap 메모리는 할당된 공간이 없고 디스크는 1.6G(21%)정도 사용 Swap 메모리 할당 1. Swapfile 만들기 $ sudo dd if=/dev/zero of=/swapfile bs=128M count=16 dd : 블록 단위로 파일을 복사하거나 변환을 할 수 있는 명령어 if : File, 지정한 파일을 입력 대상으로 설정 of : File, 지정한 파일을 출력대상으로 설정 bs : Bytes, 한번에 읽고 쓸 최대 바이트 크기를 지정 (블록 크기) count : Block, 지정한 블록 수 만큼 복사 (128M * 16 = 2G) 2. Swapfile 권한 변경 $ sudo ch.. 2023. 1. 22. 이전 1 ··· 6 7 8 9 10 11 12 ···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