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91 [AWS] AWS의 주요 서비스 종류 AWS에는 다양한 서비스가 있지만 그 중에서 주요 사용되는 서비스를 정리했습니다. 컴퓨팅(Computing) 서비스명 아이콘 설명 Amazon EC2 (Elastic Compute Cloud) - 클라우드의 가상 서버로써 다양한 타입, 사양을 선택하여 컴퓨팅 용량을 제공하는 웹 서비스로 사용한 만큼만 비용 지불 - 가상 머신으로 제공되며 인스턴스라고 부름 - 컴퓨팅 용량이란 소프트웨어 시스템 구축 및 호스팅에서 사용하는 Amazon 데이터 센터의 서버를 의미 AWS Lambda - 서버를 프로비저닝 하거나 관리할 필요 없이 코드를 실행 - AWS가 컴퓨팅 엔진 전반을 관리하기에 사용자는 코드만으로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음 - 사용하는 컴퓨팅 시간에 대한 비용만 지불하며 코드가 실행되지 않을 때는 비용이 .. 2021. 6. 14. [Bitbucket] SSH를 이용하여 Bitbucket 연동하기 @eGit Bitbucket도 GitHub처럼 HTTPS로연동해서 사용하려고 했으나 클론 시 transport error가 계속 발생해서 결국 SSH연동 방식으로 하게 되었습니다.이 기회에 git을 SSH로 연동해볼 겸 진행했습니다. 1. 내 PC에 SSH Key값 생성하기(Public, Private)2. Bitbucket에 Public Key 등록하기3. eGit에서 SSH를 이용하여 Bitbucket연동하기 내 PC에 SSH Key값 생성하기(Public, Private)SSH Key를 생성하기 위해 cmd창을 열어줍니다.ssh-keygen 명령어를 입력하면 SSH Key를 생성하기 위한 문구들이 출력되며 계속 엔터를 입력해주면 생성이 완료됩니다.Key생성 시 출력되었던 위치로 가보면 2개의 파일이 생성.. 2021. 6. 11. [AWS] 인스턴스 수명주기 (재부팅, 중지, 최대 절전 모드, 종료의 차이) AWS테스트를 하다가 인스턴스를 잠시 중단하고 싶었습니다. 인스턴스 중지와 종료의 차이를 모르고 중지를 절전모드 정도로 생각하고 있었기에 종료를 눌렀습니다. 그런데 다음날 다시 접속해서 확인해보니 해당 인스턴스가 없어졌습니다.... (VMware처럼 종료하고 나중에 다시 실행할 수 있을줄 알았는데...ㅜㅜ) 그래서 이번 기회에 각 인스턴스 상태에 대해 찾아보니 AWS가이드에 친절하게 나와있었습니다~!! 인스턴스 시작 - 인스턴스를 시작하면 인스턴스가 pending 상태로 전환되며 시작 시 사용자가 지정한 Amazon 머신 이미지(AMI)를 사용하여 부팅됩니다. - 인스턴스 사용이 준비되고 나면 인스턴스가 running 상태로 전환되면 인스턴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인스턴스 중지 및 시작(Amazon E.. 2021. 6. 8. [백준] 15565번 - 귀여운 라이언(JAVA) https://www.acmicpc.net/problem/15565 15565번: 귀여운 라이언 꿀귀 라이언 인형과, 마찬가지로 꿀귀인 어피치 인형이 N개 일렬로 놓여 있다. 라이언 인형은 1, 어피치 인형은 2로 표현하자. 라이언 인형이 K개 이상 있는 가장 작은 연속된 인형들의 집합의 www.acmicpc.net - 문제 - - 풀이 과정 - 연속된 인형 들에서 라이언 인형(1)이 k개이상 만큼 포함되는 범위의 크기를 구하면 되는 문제입니다. 그러나 라이언 인형(1)이 포함되는 범위 중 가장 작은 범위의 크기를 구해야 하기에 k개이상이 아닌 k개가 되는 범위만 추려주면 됩니다. 연속된 숫자의 범위에서 답을 구하는 문제인 만큼 sliding window기법을 사용하여 풀어줄 수 있습니다. 연속된 수를 .. 2021. 5. 21. 브루트 포스(Brute Force) 알고리즘 Brute Force : Brute(무식한) + Force(힘) 브루트 포스 알고리즘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모든 경우의 수를 탐색하면서 요구 조건에 맞는 결과를 얻는 방식입니다. 이렇게 모든 방법을 찾아보는 알고리즘을 완전탐색 알고리즘이라고 합니다. 브루트 포스 알고리즘은 구현하기도 쉽고 모든 경우의 수를 다 찾아보기 때문에 무조건 정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경우의 수를 다 찾아보는 만큼 시간, 메모리 사용면에서 비효율적인 부분을 가지고 있기에 시간 복잡도는 주로 O(N!), O(2^N)입니다. 알고리즘 설계의 접근 방법은 해가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는 모든 영역을 전체 탐색하는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 먼저 문제 해결에 필요한 모든 자료를 구조화한 후 전체 탐색을 할 수 있어야합니다. 구조에.. 2021. 5. 20. [백준] 2531번 - 회전 초밥(JAVA) https://www.acmicpc.net/problem/2531 2531번: 회전 초밥 첫 번째 줄에는 회전 초밥 벨트에 놓인 접시의 수 N, 초밥의 가짓수 d, 연속해서 먹는 접시의 수 k, 쿠폰 번호 c가 각각 하나의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단, 2 ≤ N ≤ 30,000, 2 ≤ d ≤ 3,000, 2 ≤ www.acmicpc.net - 문제 - - 풀이 과정 - 문제를 다시 풀어서 쉽게 말하자면 결국 연속된 숫자 중 중복되지 않은 숫자가 가장 많은 범위를 찾아 그 개수를 구하면 되는 문제입니다. 단, 쿠폰으로 추가 초밥을 먹을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연속된 숫자 범위에서 쿠폰으로 먹을 수 있는 초밥이 없으면 카운트를 +1해줘야 합니다. 연속된 숫자의 범위에서 답을 구하는 문제.. 2021. 5. 11. [개발] 기능 정의서 개요 기능 정의서란?웹 사이트에 필요한 모든 기능을 그림이나 도형을 사용하지 않고 글로 정의해 놓은 문서입니다. 각각의 기능들이 무엇인지 정의하고 개발 요건 등을 담은 설명을 통해 기능이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기재하며 실제 이용하는 장면을 글로 묘사하기도 합니다. 이를 통해 어떤 작업 필요할지 가늠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기획의 거의 첫 단계이며 프로젝트의 방향성을 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기능 정의서는 필수 사항은 아니며 제작 상황에 따라 생략하기도 합니다. 그러면 기능 정의서는 언제 작성할까요?? 기능 정의서가 필요한 경우1. 현재 제작하려는 사이트와 유사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사이트가 없는 경우2. 유사한 기능은 있지만 관련자들과 논의가 필요한 경우3. 클라이언트의 요구사항 양이 많거나 복잡도가 높아.. 2021. 5. 10. 투포인터 알고리즘(Two-Pointer Algorithm) 투 포인터 알고리즘이란 배열에서 2개의 포인터로 범위를 지정해 원하는 값을 얻는 방식입니다. 배열의 범위를 지정할 시작점(start)/끝점(end) 포인터를 두고 이동시키면서 원하는 값을 얻습니다. 끝점과 시작점을 배열의 처음부터 한 칸씩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범위를 변경하면서 목표 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기준은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범위(start~end)의 합이 목표 값보다 큰 경우 시작점 이동 (start++) 2. 끝점이 배열의 끝에 도달한 경우 시작점 이동 (start++) 3. 범위의 합이 목표 값보다 작은 경우 끝점 이동 (end++) 4. 범위의 합이 목표 값과 같은 경우 일치하는 개수 증가, 시작점 이동 (cnt++, start++) 범위의 합이 6인.. 2021. 5. 6. [개발] Use Case 다이어그램 이란?? 유스케이스(Use Case) 다이어그램 시스템과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한 것으로, 사용자의 관점에서 시스템의 서비스, 기능, 외부와의 관계에 대해서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한 것을 말합니다. 사용자(액터)가 시스템 내부에 있는 기능 중에 어떤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자와 시스템 사이의 관계를 간략하게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은 프로젝트에 대한 요구사항을 정의하고 세부사항을 분석하여 개발 범위를 정의할 때 작성합니다. 유스케이스 작성 시 주의할 점은 설계가 아닌 분석을 위해 작성하기에 사용자의 관점 즉, 외부적 관점에서 작성되어야 합니다. 구성요소 1) 시스템 - 현재 개발할 프로그램을 나타내며 유스케이스들을 둘러쌓아 사각형으로 표기합니다. .. 2021. 4. 22.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