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에는 다양한 서비스가 있지만 그 중에서 주요 사용되는 서비스를 정리했습니다.
컴퓨팅(Computing)
서비스명 | 아이콘 | 설명 |
Amazon EC2 (Elastic Compute Cloud) |
![]() |
- 클라우드의 가상 서버로써 다양한 타입, 사양을 선택하여 컴퓨팅 용량을 제공하는 웹 서비스로 사용한 만큼만 비용 지불 - 가상 머신으로 제공되며 인스턴스라고 부름 - 컴퓨팅 용량이란 소프트웨어 시스템 구축 및 호스팅에서 사용하는 Amazon 데이터 센터의 서버를 의미 |
AWS Lambda | ![]() |
- 서버를 프로비저닝 하거나 관리할 필요 없이 코드를 실행 - AWS가 컴퓨팅 엔진 전반을 관리하기에 사용자는 코드만으로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음 - 사용하는 컴퓨팅 시간에 대한 비용만 지불하며 코드가 실행되지 않을 때는 비용이 부과되지 않음 - 서버 없이 함수 실행을 지원하는 서비스로 간단한 이벤트 기반의 처리 방식 구현에 용이 |
AWS Batch | ![]() |
- 컴퓨팅 규모와 상관없이 배치 작업을 실행하는 서비스 - 배치용 클러스터를 따로 구축, 관리할 필요 없이 Pegasus WMS, Cromwell, Luigi 같은 주요 워크플로우 엔진을 지원하는 EC2 및 Spot 인스턴스가 동적으로 할당되고 실행 |
AWS Lightsail | ![]() |
- 인스턴스, SSD 기반 스토리지, DNS 관리, 고정 IP가, 로드 밸런서 등프로젝트를 시작하는데 필요한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서비스 - 저렴(월정액 데이터 전송량)하고 예측 가능한 요금으로 사용 가능 |
AWS Serverless Application Repository | ![]() |
- 서버리스 애플리케이션을 검색, 배포 및 게시하는 서비스 - 카테고리별로 애플리케이션을 살펴보거나 이름, 게시자 또는 이벤트 소스별로 검색 |
스토리지(Storage)
서비스명 | 아이콘 | 설명 |
Amazon S3 (Simple Storage Service) |
![]() |
- 객체 기반(object storage) 무제한 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 스토리지 - EC2에도 할 수 있지만, S3의 경우 특정 변경없이 무제한 저장이 가능하기에 주로 사용 - 스케일은 아마존 인프라가 담당하기 때문에 편리함 - 언제 어디서나 웹의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음 |
Amazon S3 Glacier | ![]() |
- 자주 사용되지 않는 데이터 즉, '콜드 데이터'에 최적화된 스토리지 서비스 (데이터 보관 및 백업 목적) - 비용이 저렴하고 무제한 데이터 저장 - 용량 계획, 하드웨어 프로비저닝, 데이터 복제, 하드웨어 장애 감지 및 복구, 시간 소모적인 하드웨어 마이그레이션에 대해 모든 서비스를 제공 |
Amazon EBS (Elastic Block Storage) |
![]() |
- EC2 인스턴스에서 파일시스템용으로 사용되는 블록 스토리지 - 기본적으로 SSD를 사용하여 데이터 입출력 속도가 빠르고 고성능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스토리지 서비스에 적합 |
Amazon EFS (Elastic File System) |
![]() |
- EC2 인스턴스용 파일 스토리지 (NAS) - EC2 인스턴스에서 공유 가능한 파일 스토리지 |
AWS Storage Gateway | ![]() |
- 하이브리드 스토리지 통합 서비스로 On-Premise 소프트웨어 어플라이언스와 클라우드 기반 스토리지를 연결하여 월활하고 안전한 통합을 제공 - On-premise에서 파일 서버, 로컬 디스크 볼륨, 가상 테이블 라이브러리(VTL)로 연결 가능 |
데이터베이스(DataBase)
서비스명 | 아이콘 | 설명 |
Amazon RDS (Relational Database Service) |
![]() |
- 클라우드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서비스 - Amazon Aurora, PostgreSQL, MySQL, MariaDB, Oracle를 위한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서비스 |
Amazon DynamoDB | ![]() |
- 어떠한 규모에서도 10ms미만의 성능을 제공하는 NoSQL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로 데이터 규모와 관계없이 데이터를 저장 및 처리가 가능한 서버 리스 서비스 - 문서 모델과 Key-Value 스토어 모델을 지원하는 NoSQL 데이터베이스 |
Amazon ElasticCache | ![]() |
- 빠른 속도를 필요로 하는 서비스와 연계하여 높은 응답속도와 신뢰성을 필요로 하는 서비스에 적합한 인 메모리 캐싱 시스템 서비스 - 분산 캐시 환경의 배포 및 관리와 관련된 복잡성을 제거하면서 고성능, 크기 조정 가능 및 비용 효율적인 인 메모리 캐시 제공 |
네트워크(Network)
서비스명 | 아이콘 | 설명 |
Amazon VPC | ![]() |
- Amazon Virtual Private Cloud(VPC)를 사용하면 AWS 클라우드에서 논리적으로 격리된 공간을 프로비저닝하여 고객이 정의하는 가상 네트워크에서 AWS 리소스를 시작할 수 있음 - 격리된 클라우드 리소스로 가상 인프라를 클라우드 내에 생성 및 구성하여 네트워크 접근 제어, DHCP, VPN, 게이트웨이 등 보안성 및 안정성 높은 네트워크를 제공 - IP 주소 범위 선택, 서브넷 생성, 라우팅 테이블 및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구성 등 가상 네트워킹 환경을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고, VPC에서 IPv4와 IPv6를 모두 사용하여 리소스와 애플리케이션에 안전하고 쉽게 액세스할 수 있음 -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는 웹 서버를 위해 퍼블릭 서브넷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인터넷 액세스가 없는 프라이빗 서브넷에 데이터베이스나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백엔드 시스템을 배치할 수 있고, 보안 그룹 및 네트워크 액세스 제어 목록을 포함한 다중 보안 계층을 활용하여 각 서브넷에서 Amazon EC2 인스턴스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도록 지원할 수 있음 |
Amazon Route53 | ![]() |
- 높은 가용성과 확장성이 뛰어난 클라우드 Domain Name System (DNS) 웹 서비스 - 외부 사용자의 요청을 AWS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인프라에 연결이 가능하며 사용자를 AWS외부의 인프라로 전달하는 서비스도 가능 |
AWS Direct Connect | ![]() |
- On-premise에서 AWS로 연결하는 전용 네트워크 서비스로 지연시간이 낮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 - public 환경과 private 환경 간의 네트워크 분리를 유지하면서 동일한 연결을 사용하여 public 리소스(예: public IP 주소 공간을 사용하는 Amazon S3에 저장된 객체)뿐 아니라 private 리소스(예: private IP 주소 공간을 사용하는 VPC에서 실행되고 있는 Amazon EC2 인스턴스)에도 액세스 가능 |
Amazon API Gateway | ![]() |
- API 구축, 배포 및 관리하는 네트워크 운영 서비스 - 개발자가 API를 손쉽게 생성, 게시, 유지 관리, 모니터링 및 보안할 수 있도록 관리 - AWS Management Console에서 클릭 몇 번으로 애플리케이션이 백엔드 서비스의 데이터, 비즈니스 로직 또는 기능(예: EC2에서 실행되는 워크로드, AWS Lambda에서 실행되는 코드, 기타 웹 애플리케이션 또는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애플리케이션 등)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관문" 역할을 하는 REST 및 WebSocket API를 생성할 수 있음 |
Elastic Load Balancing | ![]() |
- EC2로 유입되는 트래픽을 여러 대의 EC2로 분산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 - 장애가 발생한 EC2를 감지해서 자동으로 배제하는 기능을 하며 Auto Scaling 기능을 이용해서 EC2를 자동으로 생성 및 삭제 |
[참고사이트]
https://waspro.tistory.com/457
https://redcow77.tistory.com/234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EC2 Swap 메모리를 늘려보자 (0) | 2023.01.22 |
---|---|
[AWS] EC2 Session Manager 접속 (0) | 2023.01.09 |
[AWS] VPC Peering 적용하기 (0) | 2022.06.28 |
[AWS] NACL vs Security Group (0) | 2022.04.13 |
[AWS] 인스턴스 수명주기 (재부팅, 중지, 최대 절전 모드, 종료의 차이) (0) | 2021.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