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 Level 1  – K번째수
          문제 설명 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합니다. 예를 들어 array가 [1, 5, 2, 6, 3, 7, 4], i = 2, j = 5, k = 3이라면 1. array의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르면 [5, 2, 6, 3]입니다. 2. 1에서 나온 배열을 정렬하면 [2, 3, 5, 6]입니다. 3. 2에서 나온 배열의 3번째 숫자는 5입니다. 배열 array, [i, j, k]를 원소로 가진 2차원 배열 comman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commands의 모든 원소에 대해 앞서 설명한 연산을 적용했을 때 나온 결과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array의 길이는 1 이상 1..
          
            2021. 1. 27.
          
        
       
    
    
  
        
    
        
    
      
    
    
  
        
    
        
    
      
        
          
            
              
            
          
          [자바의 정석] Chapter 3 연산자(Operator)
          연산자(operator)연산자는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를 말하며 ‘+’기호는 덧셈 연산자라고 하며 덧셈 연산을 수행한다. 사칙 연산(+, -, *, /)을 비롯하여 다양한 연산자를 이용한다. 연산자와 피연산자o  피연산자(operand) : 연산을 수행하기 위한 연산의 대상으로 상수, 변수 식(式) 등을 사용할 수 있다.o  연산자는 피연산자로 연산을 수행하고 나면 항상 결과값을 반환한다. 연산자(operator) :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 (+,-,*,/ 등)피연산자(operand) : 연산자의 작업 대상 (변수, 상수, 리터럴, 수식)  식(式)과 대입연산자o  식(式)이란 연산자와 피연산자를 조합하여 계산하고자 하는 것을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식을 계산하여 얻는 것을 ‘식을 평가(evaluatio..
          
            2021. 1.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