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92

[SQL] SELECT문 명령어 - BETWEEN, IS NULL, IN BETWEEN AND (~부터 ~ 까지) o 비교하려는 값이 지정한 범위에 포함되면 TRUE를 리턴하는 연산자 상한 값과 하한 값의 경계도 포함된다. 급여를 3500000보다 많이 받고 6000000보다 적게 받는 직원 이름과 급여 조회 SELECT EMP_NAME, SALARY FROM EMPLOYEE WHERE SALARY >= 3500000 AND SALARY 안녕으로 끝나는 문자열만 조회 LIKE '홍%' : 홍으로 시작하는 문자열 LIKE '%병%' : 병을 포함하고 있는 문자열 LIKE '_안녕' : 안녕(X) 하안녕(O) 1안녕(O) -> 안녕으로 끝나는 3글자 문자열 LIKE '___' : 3글자 문자열 LIKE '_종_' : 가운데 종을 포함하는 3글자 문자열 사원 이름에 ‘이’가 포함된.. 2021. 2. 27.
[SQL] SELECT문 명령어 - DISTINCT, WHERE, 연산자 DISTINCT o 컬럼에 포함된 데이터 중 중복 값을 제외하고 한 번씩만 표시하고자 할 때 사용 o DISTINCT는 SELECT문에 한 개만 사용이 가능하다. SELECT DISTINCT JOB_CODE FROM EMPLOYEE; SELECT DISTINCT DEPT_CODE, JOB_CODE FROM EMPLOYEE; -- 동시 중복만 제거 SELECT DISTINCT DEPT_CODE, DISTINCT JOB_CODE FROM EMPLOYEE; --에러 WHERE절 o 검색할 컬럼의 조건을 설정하여 RESULT SET의 Row(DATA)값을 필터링하여 조회할 수 있다. o 필터링을 원하는 경우에만 WHERE를 사용하면 되기에 생략이 가능하다. o 사용 형식 : SELECT 컬럼명, 컬럼명, ..... 2021. 2. 27.
[SQL] SELECT문 - 정의, 산술 연산, 별칭, 리터럴 SELECT o 데이터 조회하는 역할을 하는 언어이다. o 데이터를 조회한 결과를 Result Set이라고 하는데 SELECT구문에 의해 반환된 행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o Result Set은 0개 이상의 행이 포함될 수 있고 특정 기준에 의해 정렬 가능 o 한 테이블의 특정 컬럼, 행, 행/컬럼 또는 여러 테이블의 특정 행/컬럼 조회 가능 o RESULT SET의 값(리터럴)들은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그 외 명령어 입력 등 영문 입력은 대소문자 구분 X 작성법 SELECT 컬럼 명 [, 컬럼명, …] FROM 테이블 명 [WHERE 조건식]; - 대괄호[ ]는 생략이 가능하다. - 테이블 안에 있는 컬럼들만 작성을 할 수 있다. - SELECT 컬럼명들을 작성함으로써 여러 개의 컬럼을 한 번에 불러올.. 2021. 2. 27.
[SQL] SQL 개념 및 종류(DDL,DML,DQL,DCL,TCL)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 SQL이란 DBMS에 저장된 데이터와 통신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조작하기위해 사용하는 표준 검색언어로 데이터를 찾는 방법이나 절차를 기술하는게 아닌 조건을 기술하여 작성한다. - SQL은 ANSI/ISO 표준을 준수하기 때문에 DBMS가 변경되어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 SQL언어의 종류는 크게 DDL, DML, DCL로 나누어진다. SQL 언어 종류 - DDL(Data Definition Langauge), 데이터 정의어 데이터를 어떻게 정의할 것인지 정의하는 언어로 데이터베이스 안의 데이터들을 생성, 변경, 수정, 입력하는 언어이다. 종류 역할 CREATE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등을 생성하는 역할을.. 2021. 2. 27.
[Database] DBMS의 개념 및 기능, 이점, 유형 Data와 Databaseo Data관찰 결과로 나타난 정량적 혹은 정성적인 실제 값 o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의미를 부여한 것에베레스트 높이 : 8848m -> Data에베레스트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 정보 o Database(DB)한 조직에 필요한 정보를 여러 응용 시스템에서 공용할 수 있도록 논리적으로 연관된 데이터를 모으고 중복되는 데이터를 최소화하여 구조적으로 통합/저장해 놓은 데이터이다. DBMS데이터 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추출, 조작, 정의, 제어 등을 할 수 있게 해주는 데이터베이스 전용 관리 프로그램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 간의 중계 역할을 하는 S/W 시스템이다. o DBMS의 기능기능설명추출(Retrieval)사용자가 조회하는 데이터 혹은 응용 프로그램의 데이터 추출조작(.. 2021. 2. 27.
[Database] DB 기초 용어 정리 - 테이블(Table), 행(Row), 열(Column) 등 테이블(Table) [or 릴레이션(Relation)]o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할 수 있는 기본적인 저장단위이다. o 자료의 구조를 2차원 표로 나타낸 것으로 컬럼과 로우로 이루어져 있다.o 릴레이션(Relation)이라고도 불린다. 행(Row) [or 레코드(Record), 튜플(Tuple)]o 테이블에서 단일 구조 데이터 항목을 가리킨다.o 각 테이블의 행은 필드의 개수만큼 데이터를 입력해주어야 한다.(null 제외)o 하나의 데이터는 하나의 Row를 의미하며 Row는 분리할 수 없다. 하나의 데이터 출력 시 하나의 ROW가 출력된다.o 테이블의 모든 행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o 레코드(Record), 튜플(Tuple)이라고도 불린다. 열(Column) [or 속성(Attribut.. 2021. 2. 25.
[09-2] clone( ), 얕은 복사(shallow copy), 깊은 복사 - Object클래스 clone( )o  clone( )메서드는 자신을 복제하여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o  Cloneable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의 인스턴스만clone( )을 통한 복제가 가능하다.    구현하지 않고 clone( )을 호출하면 예외가 발생한다. o  clone( )을 오버라이딩 하면서 접근제어자를 protected에서 public으로 변경해야 한다.     그래야 상속관계가 없는 다른 클래스에서 clone( )을 호출할 수 있다. public class 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oint original = new Point(3, 5);        Point copy = (Point)origi.. 2021. 2. 25.
[09-1] equals( ), hashCode( ), toString( ) - Object클래스 Object클래스o  Object클래스는 모든 클래스의 조상이기에 Object클래스의 멤버들은 모든 클래스에서 바로 사용이 가능하다.o  Object클래스는 멤버 변수 없이 오직 11개의 메서드만 가지고 있다. 이 메서드들은 모든 인스턴스가 가져야 할 기본적인 것들이다.Object클래스의 메서드설명protected Object clone( )객체 자신의 복사본을 반환한다.public boolean equals(Object obj)객체 자신과 객체 obj가 같은 객체인지 알려준다.(같으면 true)protected void finalize( )객체가 소멸될 때 가비지 컬렉터에 의해 자동적으로 호출된다. 이 때 수행 되어야하는 코드가 있을 때 오버라이딩한다. (거의 사용안함)public Class getCl.. 2021. 2. 25.
[JAVA] 문자열 첫 글자를 대문자로 바꾸기 소문자로 된 문자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바꾸는 방법을 작성하려고 한다. 1. toCharArray( ) - 문자열을 CharArray로 변환 후 배열의 첫 번째 배열만 대문자로 변환한다. 2. SubString( ) - 문자열을 첫번째 문자열 + 나머지 문자열로 나누어서 첫 번째 문자열만 대문자로 변환한다. 1. toCharArray( )를 이용한 변환 방법 변경할 문자열을 toCharArray( )를 이용하여 문자 배열로 변환한다. 문자 배열에서 첫 번째 배열만 Character.toUpperCase( )를 사용해 대문자로 변경 후 문자 배열 전체를 다시 String으로 넘긴다. public class 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 2021. 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