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

[개발] 기능 정의서 개요

by chan10 2021. 5. 10.

기능 정의서란?

웹 사이트에 필요한 모든 기능을 그림이나 도형을 사용하지 않고 글로 정의해 놓은 문서입니다. 각각의 기능들이 무엇인지 정의하고 개발 요건 등을 담은 설명을 통해 기능이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기재하며 실제 이용하는 장면을 글로 묘사하기도 합니다. 이를 통해 어떤 작업 필요할지 가늠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기획의 거의 첫 단계이며 프로젝트의 방향성을 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기능 정의서는 필수 사항은 아니며 제작 상황에 따라 생략하기도 합니다. 그러면 기능 정의서는 언제 작성할까요??

 

기능 정의서가 필요한 경우

1. 현재 제작하려는 사이트와 유사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사이트가 없는 경우

2. 유사한 기능은 있지만 관련자들과 논의가 필요한 경우

3. 클라이언트의 요구사항 양이 많거나 복잡도가 높아 정리가 필요한 경우

4. 견적서를 작성하기 위해 업무의 양과 복잡도를 가늠하기 위해

5. 형식상 사내 작업의 한가지 절차인 경우

 

기능 정의서를 작성하는 이유

기획한 기능에 대해 프로젝트 기획자와 개발자가 소통하기 위함으로 해당 기능을 개발자에게 어떻게 구현해 달라고 요청하는 문서와 같은 개념입니다. 기획자가 기능들의 종류 및 동작 부분을 정리하고 개발자와 얘기함으로써 어떻게 구현할지를 보완합니다. 이와 비슷한 요구사항 정의서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형태 중심의 서술이면 기능 정의서는 작업을 하기위한 기능 중심의 서술입니다.

 

기능 정의서 작성하기

기능 정의서 작성 시 작성하는 항목은 아래와 같습니다만 필요에 따라 항목은 변경하여 작성하면 됩니다.

  1. 기능 코드 : 기능 코드는 기능별로 규칙을 정해서 부여합니다. 기능 코드를 부여함으로써 추후 기능들의 파악, 검색을 쉽게 할 수 있습니다. 의사소통 간에도 긴 명칭보다는 코드를 이용하여 명확하게 의사 전달을 하기 위해 부여합니다. 정해진 규칙은 없으며 회사 내에서 규칙을 수립하면 됩니다.
    예) 프로젝트 이름 – 이용자(front)/관리자(back)– 메뉴이름 – 번호
          기능 – 기능명 요약 – 기능별 일련번호
  2. 페이지(Depth) : 해당 기능이 어디서 시작되어 표현되는지 즉, 기능의 위치(경로)를 작성합니다.
  3. 구현 대상 : PC / MOBILE 구현할 대상을 작성합니다.
  4. 작업 요소 : 작업을 진행할 부서(파트)를 체크함으로써 단순 디자인만 필요한지 개발까지 필요한지를 볼 수 있습니다.
  5. 관리자 연동 : 해당 페이지가 괸리자와 연동되는지 여부를 체크합니다.
  6. 기능 정의 : 기능의 주요 역할을 작성하는 영역으로 기능의 역할, 이용 방법, 개발 요소 등을 작성합니다.

출처 : https://m.blog.naver.com/heyarech07/221164495460

 

[참고사이트]

https://m.blog.naver.com/heyarech07/221164495460

https://brunch.co.kr/@mojuns/9